주제전시LIGHT ARCHITECTURE

장소
아트홀 2관/어울림광장

주요내용
강이연 작가의 신작, Light Architecture는 “인류와 공진화할 미래의 AI 아키텍처는 어떤 모습일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작가의 상상력으로 빚어낸 AI 아키텍처는 대형 설치물로 구현되어 빛과 어둠, 복잡성과 가능성, 두려움과 계몽의 상충하는 가치가 혼재하는 구조를 다차원적으로 그려냅니다. 그 속에서 관객은 스스로가 거대한 인공신경망 속의 데이터 조각이자 미래 AI를 설계하는 책임적 주체임을 알아차리게 됩니다.

Artist Kang Yiyun’s new work, Light Architecture, begins with the question, “What will future AI architecture, coevolving with humanity, look like?” Kang brings this imagination to life as a large installation, depicting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where conflicting values such as light and darkness, complexity and possibility, fear and enlightenment coexist. The audience will realize they are not only fragments of data within a vast artificial neural network but also responsible agents in designing future AI.

전시명

<LIGHT ARCHITECTURE>

전시 소개

인류와 AI는 함께 진화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그것은 어떤 모습일까?

인공지능(AI)은 현재 가장 뜨거운 화두입니다.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더 많은 데이터를 학습시키고, 더 좋은 컴퓨팅 하드웨어를 만들고, 더 진보한 AI를 만들어낼 것입니다. 인류의 눈부신 성과인 AI는 끝없이 빛을 비출까요, 아니면 결국 어둠을 드리울까요?

작가 강이연은 AI라는 거대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서울 디자인 2024’의 주제전 단독 전시를 선보입니다. 라는 제목의 이 전시는 AI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아키텍처(architecture)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연구자로서의 리서치와 작가적 상상력이 구축해 낸 는 빛과 어둠, 복잡성과 가능성, 두려움과 계몽처럼 상충하는 미래 AI의 이중적 가치를 다차원의 공간에 구조적으로 배열합니다.

아키텍처는 AI 시스템의 구조적 설계를 의미합니다. 신경망의 레이어, 레이어의 유형, 연결 방법,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처리 방식 등 전체 프레임워크가 여기에 포함됩니다. 시스템의 구성과 구축 방식을 정의하는 청사진으로서 오늘의 발전된 AI를 가능하게 만든 핵심 요인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미래의 AI 아키텍처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전문가나 학자들을 비롯해 누구도 아직 정확한 답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블랙박스(black box)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이는 인간이 설계하고도 완전히 해석할 수 없는 불가해의 영역이라는 의미입니다. AI 딥러닝 모델은 수백만 개의 매개변수와 복잡한 연산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아키텍처의 내부 동작 방식은 고도의 복잡성을 띠고 있어 개발자들조차도 그 작동 기제를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AI 모델의 발전은 광속에 비견할 만 하지만, 그것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도구나 기법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주목할 만한 우려를 불러일으킵니다. 인류는 미래 AI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한 채 질주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키텍처의 발전이 고도화될 수록 더 많은 인간이 소외될 것이며, 인류와 AI의 공진화는 점점 더 요원하게 될 것입니다.

강이연의 작업은 이 블랙박스를 이해하고, 나아가 미래의 AI 아키텍처를 상상해 보려는 시도입니다. 명암이 혼재하는 다차원의 구조 속에서 관객들은 거대 인공신경망 속의 데이터 조각이자 미래 AI 시대의 책임적 주체로 동시에 존재합니다. 그리하여 작가는 이들과 함께 인류와 공진화할 미래의 AI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주제전시 작가 소개

강이연 작가

소속한국과학기술원 KAIST 공과대학 산업디자인 학과 교수
전. 영국왕립예술대학 객원교수
학력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학사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디자인/미디어 아트(Design/Media Arts) 석사
영국왕립예술대학 커뮤니케이션학부, 정보 경험 디자인학과(Information Experience Design) 박사
최근 주요전시2023
PASSAGE OF WATER, NASA, Google 협업 프로젝트, COP28 Dubai, UAE, 오프라인 전시,
구글 온라인 전시
ORIGIN, Jaeger-LeCoultr, 메이드 오브 메이커스 프로젝트, 서울, 뉴욕, 쥐리히, 시드니, 싱가폴 순회 전시 중
ONLY IN THE DARK, Art on the Mar, 시카고, 미국
2022
GEOFUTURE, DDP 파사드 맵핑 프로젝트, 서울, 한국(Dassault Systèmes  협업)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하여, 코엑스 K-POP 스퀘어, 서울, 한국(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2021
ANTHROPAUSE, PKM 갤러리 개인전, 서울, 한국
2020
CONNECT BTS,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서울, 한국
수상2024 iF Award
2024 카이스트 10대 연구상
2022 British Council Alumni Award for Culture and Creativity, British Council 
2017 Reddot Award
저서2024 Leonardo Journal, MIT Press
2020 Practices of Proje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Leonardo Journal, MIT Press
홈페이지https://www.yiyunkang.com

주제전 CREDIT

작가 : 강이연
작품 기획 및 디자인 : 강이연 스튜디오
큐레이터 : 이대형
기술감독 : 곽동엽
프로젝트 매니저 : 강나경
제작, 시스템 및 설치 : C2 Artechnolozy